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유니티

유니티로 2D게임 만들기 2일차

반응형

유니티 게임 2일차

 

프리패브(prefab) : 다 같은 속성을 가진 오브젝트를 여러 개 만들 때 사용함

똑같은 장애물이나 적 오브젝트 같은 거 만들 때 유용합니다.

Hierarchy의 오브젝트를 드래그해서 프로젝트 쪽 assets에 넣으면 프리패브가 만들어집니다.

이 프리패브를 자동 생성하는 빈 오브젝트를 만들어서 빈 오브젝트에 스크립트 안에

public GameObject gameObj;를 선언하면 인스펙터 창에 게임 오브젝트 변수가 생기는데

아까 만든 assets의 프리패브를 드래그로 넣을 수 있습니다.

 
오브젝트 생성후 삭제가 필요할떄는 디스트로이 메소드를 사용한다.
Destroy(gameObj, 4.0f); 오브젝트삭제, 4초후(시간 float타입)
 
점수판같이 글을 출력할떄는 Ui -> Canvas를 추가해서 Canvas에 Text를 추가해 출력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어제 연습한 충돌판정 범위Collider는
충돌하면 충돌한 물체가 서로 통과못하는 Collision(기본)과 Trigger(is Trigger 관통해버림)로 설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하나의 scene을 사용했는데 역시 게임이 끝났을때의 scene을 추가하려면
프로젝트에서 새scene을 추가하고 게임오버됬을때의 스크립트에서 
using UnityEngine.SceneManagement; 을 추가
함수에서는 SceneManager.LoadScene("GameOverScene"); 으로 scene을 이동소스를 추가
그리고 file -> buildsettings에서 기존 처음scene만 있는데 드레그 드롭으로 GameOverScene을 넣으면된다.
SceneManager.LoadScene("GameOverScene")대신에 SceneManager.LoadScene(1)같이 숫자지정이가능하다.
숫자는 buildsettings에 뜬다.

 

반응형